안녕하세요 Organized Info입니다.
투자의 열기가 뜨거운 근래, 오늘은 인덱스펀드와 주식형 펀드의 차이를 간략하게 표로 정리하였습니다.
하단 표로 인덱스 펀드와 주식형펀드의 처이는 무엇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구분 | 인덱스펀드 | 주식형펀드 |
운용방식 | 패시브펀드 | 액티브펀드 |
특성 | 지수형 | 종목형 |
성향 | 수비형 | 공격형 |
구성 종목 수 | 주식 종목 100~200개 묶음 | 주식 종목 10~20개 묶음 |
목표수익률 | 추종(벤치마크) 지수 | 지수의 시장 평균수익률을 초과하는 수익률 목표 |
수수료 | 0.5~1.5% 저렴 | 1.5~3%저렴 |
운용 방식 | 소극적 자산운용 추적오차 | - 적극적 자산운용 - 종목 선택 - 시장 타이밍에 따른 잦은 매매 |
운용 전략 | 포트폴리오 구성 차익 거래 | - 자산 배분(주식 vs 현금) - 종목 선정 |
수익과 비용 | - 금융기관: 저수익 - 투자자: 저비용(1% 이내) |
- 금융기관: 고수익 - 투자자: 고비용(2%이상) |
특징 | - 펀드별 수익률 편차가 작다 - 펀드 운영이 투명하다 |
- 펀드별 수익률 편차가 크다 - 펀드운영이 복잡하고 어렵다 |
위험 요인 | - 추적오차만 조정하므로 위험이 낮다 | - 공격적 운용으로 위험이 높다 |
*추종(벤트마크) 지수: 펀드의 수익률 푸적 대상이 되거나 비교 척도가 되는 시장 지수를 말합니다. 펀드 스타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지수가 여러 가지입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은 추종 지수는 코스피 200이고, 미국의 대표적인 추종 지수는 S&P500입니다.
*추적오차: 인덱스펀드는 펀드수익률이 지수수익률을 따라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펀드를 운영하다보면 지수와 펀드의 순자산가치가 일치하지않고 벌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추적오차라고합니다.
여기서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인 인덱스 펀드(Index Fund)와 ETF를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을것 같습니다.
둘다 자동적으로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들이기 떄문인데요.
인덱스펀드 같은 경우, 펀드매니저가 해당 상품안에서 각 회사의 비중을 약간씩 조정할 수 있다면,
ETF투자는 대부분의 거래가 자동으로 이루어져서 펀드매니저가 관여하는 부분이 없다는 것입니다.
또한 ETF는 주식 투자처럼 주식시장에서 빠르게 거래할 수 있고 수수료도 저렴하지만 펀드처럼 매니저의 운용이나 관리는 거의 없는 특징이 있죠. 본인의 재태크 스타일에 따라 투자상품을 잘 선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주식과는 다른 펀드는 적용되는 매입과 환매 시점이 다른데,
이와 관련된 글과 펀드의 개념 및 장점에 설명한 포스팅 함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organized-info91.tistory.com/38
[정보] 펀드 투자 유의사항 !! 매입 및 환매 적용되는 시점
안녕하세요 Organized Info입니다. 근래 코로나의 여파로 인한? 투자의 열풍이 불기시작하면서 지속적인 투자 정보를 포스팅하고 있습니다 :). 전 포스팅에서는 펀드의 전반적인 개념과 더불어 펀드
organized-info91.tistory.com
https://organized-info91.tistory.com/37
[투자] 펀드의 개념과 장점 바로 알기
안녕하세요 Organized Info입니다. 근래 코로나의 여파로 증시 폭락과 반등을 반복하면서 투자자분들이 과연 놀고 있는 내돈을 어디에 투자해야 될지 고민이 많은 시기에 여전히 놓여져있습니다. ��
organized-info91.tistory.com
'이동 시간 활용 콘텐츠 > 경제 &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양도세] 국내주식 VS 해외주식 VS 해외펀드 세금 비교 한번에 (0) | 2020.06.18 |
---|---|
주식 양도세와 증권 거래세 세법 개정안을 쉽게 정리해보자 feat 2023년 (0) | 2020.06.17 |
2020년 코스피 200 & 코스닥 150 편입/편출 종목 총 정리 (0) | 2020.06.11 |
2020년 (정기 변경) 코스피 200 종목 파이널 리스트 + 엑셀파일 (0) | 2020.06.10 |
존리 대표가 강조한 연금저축 펀드는 무엇일까 (0) | 2020.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