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Organized Info입니다.
근래 코로나 백신 관련 모더나에 대한 포스팅을 해보려합니다.
최근 미국 바이오기업 모더나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후보물질(mRNA-1273)의 1상 임상시험 중간 결과를 내놓으면서 미국 증시가 출렁이는 현상이 있었죠.
“접종한 45명 모두에서 항체가 생겼다”는 뉴스에 기대감이 커졌다가 자료 부실 등 비판이 나오면서 의혹이 커지고 있죠. 무슨 일인지, 이 임상시험의 주관 책임자인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앤서니 파우치 소장은 아직까지 아무 언급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모더나 코로나 백신 이슈에 관해 감염병 임상시험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 중 한명인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의 말이 이번 모더나 이슈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큰 자료가 될 것으로 봅니다.
참고로, 김 교수님은 녹십자의 신종플루 백신 개발 등 수많은 감염병 백신·치료제 개발에 참여한 경험이 있으신 분인데 한 영상에서의 그분의 인터뷰를 하단의 Q&A 형식으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하단의 코멘트는 연합뉴스에서 김교수님의 인터뷰 영상을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모더나가 보도자료 형식으로 중간 결과를 내놓은 점에 대한 생각
우선 발표 형식은 이례적이라는 결론입니다.
백신에 대한 1상 임상시험은 건강한 성인 40~50명을 대상으로 안전성을 보는 것이 주목적이고, 부수적으로 면역원성(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는 것인데 그 결과는 1상이 모두 끝난 뒤 종합적으로 분석해 임상을 주관하는 연구책임자(이번 경우는 파우치 소장)가 모든 자료를 확인하고 개발사에 결과를 통보하고 규제당국에 보고한 후 논문이 발표될 때쯤 외부에 공개되는 것이 정상적인 순서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번 발표는 파우치 소장은 언급이 없고, 개발사가 그것도 중간 결과를 보도자료 형식으로 발표했었죠. 전세계적으로 백신 임상시험 결과를 기다리는 점을 감안해 이런 발표가 이뤄졌다고 생각하지만, 통상적 양식이 아닌 보도자료 형태로 발표해 결과를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합니다.
-전체적인 백신관련 모더나 발표 내용
45명을 백신 용량 25µg, 100µg, 250µg 군으로 15명씩 나눠 진행하였고 이는 mRNA 방식인데,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핵산 염기서열을 백신으로 만들어 인체에 주사 한 것.
그러면 백신이 체세포 안으로 들어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고, 면역세포들이 이를 감지해 항체를 만드는 원리인 것입니다. 어떻게보면 상당히 고도의 분자생물학적인 바이오기술이라는 것입니다. 아직까지 mRNA 방식으로 허가받은 백신은 없습니다. 상당히 고급 백신 기술을 갖고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전성에 대한 결과는?
안전성 측면에서는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는 감염내과 김교수님의 말씀입니다. 백신을 접종해 어깨 접종 부위의 통증, 압통, 부종, 발열, 두통 같은 국소 증상, 마비나 간질 발작 같은 전신 증상 등 부작용이 심한 경우가 있나를 보는 것이 안전성 검증입니다. 100µg 군에서 1명만 3등급의 주사부위 홍반이 있었는데, 그외 심각한 부작용은 없었다는 내용이며, 안전성 문제에서는 희소식이라고 볼 수 있다고 합니다.
-항체 형성 부분은?
항체 역가가 최대로 올라가는 접종 2주차에 채혈해 평가했는데요. 그 결과 45명 전원에서 항체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입니다. 즉 면역반응을 일으켰다는 것이죠. 그러나 이번 결과는 항체 형성 여부만을 언급했을 뿐 항체 역가나 지속력에 대한 정보가 확인되지 않은 채 나와 논란을 불러일으킨 것입니다.
-연말까지 3상을 마칠 수 있을까?
이번 임상시험은 45명이라는 소수에서 진행되었는데 그래서 이 결과가 향후 수십만명, 수백만명에서 접종 시 안전성을 보장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중간 발표 갖고 일희일비할 것이 아니며 아직은 갈 갈이 멀다고 김교수님은 말합니다.
최근 미국 정부가 올해 12월 내로 3억 도즈를 만들어내라 등 백신 개발을 독촉하고 있는데, 백신 임상은 그렇게 서두를 일이 아닌 것이죠. 백신은 안전성이 제일 우선인 것인데, 아무리 예외적인 상황이라해도 안전성을 희생하면서까지 무리하게 백신 개발을 밀어붙여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부작용 같은 이슈를 낳을 수 있기 떄문에 서둘러서는 안된다는 입장입니다.
몇일전 미국 모더나에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의 1상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게됨에 따라
이에 미국증시는 기대감을 많이 반영을 했었습니다. 이 상황을 보고 모더나 코로나 백신 이슈에 대한 포스팅을 한번 해야 겠다고 마음을 먹었던 것인데, 심지어 당시 새벽 미증시에서 한공주와 여행주, 석유관련주, WTI 유가가 급등을 하게 됩니다. 한국증시에도 마찬가지 양상을 보였었죠.
금번 모로나 이슈를 통해 예전 신종플루 치료제 타미플루로 대박난 길리어드와 비슷한 길로 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의문이 들었습니다. (그 당시 길리어드 전임 대표이사는 바로 미국방부장관을 지낸 럼프펠드가 뗴돈을 벌게 되었죠.)
현재 코로나 관련 백신 이슈에 대중과 증시가 크게 출렁이는 건 증시나 세계인들에게 있어 희망이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일부러라도 더 띄웠던 점이 있을 수 있는데요. 조만간 이노비오 백신으로 또 다시 희망을 띄우지 않을까하는 생각마저 드네요.
아무튼 어제도 이야기했지만 모더나는 예전 신종플루 때의 길리어드 모습과 너무도 비슷한 느낌이 듭니다. 아직 2상과 3상이 지나봐야 더 정확한 결과를 알 수 있겠지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변이가 심한 특징이 있어 사실 백신이나 치료제가 단기간에 나오기란 힘든 일이라 생각이 듭니다.
모더나 코로나 백신 이슈를 포스팅해보았습니다. 전반적인 내용을 알고 앞으로의 상황을 지켜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 Organized Info였습니다.
'이동 시간 활용 콘텐츠 > 경제 & 재태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0년 삼성전자 배당금 기준일은? Feat 배당락일 (0) | 2020.05.28 |
---|---|
2020 연봉 실수령액 _ 고용보험, 건강보험 인상 적용 (0) | 2020.05.26 |
[투자상식] 비트코인 반감기란? 앞으로의 가격은? (1) | 2020.05.12 |
[가상화폐] 3탄 비트코인과 일반 화폐의 차이와 세금 (0) | 2020.05.09 |
[가상화폐] 2탄 비트코인의 장점 및 기술력 (0) | 2020.05.08 |